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주택 건설 인허가 / 착공 / 준공 (2015년~2021년8월) 수치 비교

투자 관련

2021. 10. 27. 22:03

본문

반응형

뉴스 기사에 따르면 인허가 및 착공 후 입주까지 3~4년의 시차가 발생한다고 한다.

 

주택 공급 지표 5년래 최저..3년 뒤 공급 부족 불가피 | Daum 부동산

 

주택 공급 지표 5년래 최저..3년 뒤 공급 부족 불가피 | Daum 부동산

주택 허가ㆍ착공 연면적 급감지방은 공급과잉, 서울은 규제가 원인2010년대 초 공급 감소→작년 상승“시장 상황 예상해 미리 대응해야” [그래프 출처=국토교통부]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지

realestate.daum.net

 

이미, 2019년 초 3년뒤인 2022년 초에 공급 부족 불가피 기사가 떴다.

실제로 공급 부족에 의한, 부동산 급등.

 

 

그리하여 현재 인허가/착공/준공 데이터를 요약해보았다.

출처 : 통계청 자료 다운 후 정리

 

 

 

보기 힘들어서 차트로 정리

 

 

제대로 정리한진 모르겠지만 맞다면,

2018년 최저치라고 걱정했는데

 

2019년은 더 줄고, 2020년은 더 줄고...

2021년은 8개월 치지만 더 줄은거 같은데?

 

 

그렇다면 그 비싼 서울은

2017년에 반짝 많았지만

 

2018, 2019, 2020.. 계속 줄었다 즉,

준공 주택 수는 2021년 이후로 3년 연속 줄어들 것이다.

 

앞으로 3~4년간은 헬이 계속 될 것이다.

 

참고로 가구 수는 계속 늘고 있다.

 

가구수 및 주택 수 참고

https://whamin77.tistory.com/38

 

부동산 예측) 2019년 연령/성별 주택 및 아파트 소유자 수

통계청 자료 다운 후 엑셀로 그냥 그래프만 그렸습니다. 2019년 주택 수 총계 : 14,335,723 2019년 아파트 수 총계 : 9,345,271 연도별 가구 수 및 주택수 가구 수 보다 주택 수가 항상 더 많은데도 불구하

whamin77.tistory.com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