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대한민국 1인가구 수치 / 합계 출산율 / 향후 경제 전망

투자 관련

2021. 11. 4. 21:33

본문

반응형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서울의 가구 수는 20283912천 가구로 정점을 찍은 이후 계속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놓고 추측해본다면 서울의 집값은 가구가 많아질수록 상승하므로 2028년까지는 계속 오를 수밖에 없다.

 

2019년 통계청은 우리나라 1인 가구가 600만을 돌파했다고 발표했다. 400만에서 500만으로 느는데 5년이 걸렸고,

500만에서 600만이 되는 데는 4년이 걸렸다.

 

1인 가구가 늘어날수록 우리나라의 경쟁력, GDP는 계속 떨어질 수 밖에 없는 구조다. 무엇보다 큰 문제는 1인 가구의 40%가 무직자라는 사실이다.

 

2028년부터 1인 가구 수가 부부와 자녀로 이루어진 가구 수를 훌쩍 넘어서고, 2045년부터는 부부+자녀 가구의 수가 지금의 50% 이하로 줄어들 것이라고 발표했다. , 2028년부터 우리는 지난 몇십 년간 겪어보지 못한 충격적인 시대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참고문헌 : 미래의부, 이지성, p.28~p.30

 

 

 

합계 출산율이 1.5 이하로 떨어진 나라는 저출산이 시작된 이후 20~30년 안에 심각한 불황을 겪었으며 우리나라처럼 합계 출산율이 1도 안 될 정도로 낮은 나라는 아직 세계적으로 전례가 없는 탓에 이러한 인구 급감이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가늠조차 어렵습니다.

 

참고문헌 : 부의 시그널, 박종훈, p.217~p.212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